동탄 메타폴리스(주상복합)(사진=네니버 부동산 캡처)
[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수도권 아파트값이 재건축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서울은 매수 심리 회복과 함께 거래가 늘어나며 상승 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경기에서는 분당·광명·과천 등 개발 기대감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강세가 나타났고, 전세시장 역시 매물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세가 확산됐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9월 4주(9월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상승했으며, 수도권은 0.07% 올라 전주(0.04%)보다 오름폭을 키웠다. 서울은 0.19% 상승해 지난주(0.12%)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역세권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면서 상승 거래가 잇따른 결과다.
서울(0.12% → 0.19%)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상승거래가 포착되는 등 전체적으로 오름세를 이어갔다.
강북 14개구 (0.17%)는 성동구(0.59%)가 금호·행당동 역세권 위주로, 마포구(0.43%)는 성산·공덕동 위주로, 광진구(0.35%)는 자양·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용산구(0.28%)는 이촌동·원효로4가 위주로, 중구(0.27%)는 신당‧중림동 위주로 올랐다.
강남 11개구 (0.20%)는 송파구(0.35%)가 잠실·가락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31%)는 암사‧명일동 위주로, 양천구(0.28%)는 신정‧목동 대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24%)는 신길‧여의도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인천 (0.00% → 0.00%)은 연수구(-0.02%)가 송도·옥련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중구(-0.02%)는 중산·운남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3%)는 청라·당하동 위주로, 동구(0.01%)는 송림·화수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미추홀구(0.01%)는 도화·숭의동 위주로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보합 전환했다.
경기 (0.01% → 0.03%)는 평택시(-0.16%)가 안중읍·용이동 위주로, 여주시(-0.13%)는 월송·홍문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분당구(0.64%)는 정자·서현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광명시(0.24%)는 개발 기대감 있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과천시(0.23%)는 원문·부림동 위주로 올랐다.
전세시장도 동반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 오르며 전주(0.03%)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고, 수도권은 0.06% 올랐다.
서울( 0.07% →0.09%)은 전세 매물 부족 속에 역세권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강북 14개구 (0.06%)는 마포구(0.14%)가 성산·공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광진구(0.13%)는 자양·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용산구(0.12%)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중구(0.06%)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도봉구(0.06%)는 방학·창동 대단지 위주로 올랐다.
강남 11개구 (0.12%)는 송파구(0.26%)가 방이·잠실동 위주로, 서초구(0.25%)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강동구(0.16%)는 암사·고덕동 선호단지 위주로, 양천구(0.13%)는 목·신정동 역세권 위주로, 강서구(0.11%)는 가양·화곡동 위주로 올랐다.
인천( 0.03% → 0.04%)은 중구(-0.02%)가 운남·운서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6%)는 당하·청라동 주요 단지 위주로, 연수구(0.05%)는 송도·청학동 위주로, 미추홀구(0.04%)는 주안·용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남동구(0.04%)는 구월·서창동 위주로 올랐다.
경기 ( 0.03% → 0.05%)는 이천시(-0.07%)가 부발읍·송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06%)는 중산·풍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주시(0.22%)는 태전·송정동 위주로, 하남시(0.19%)는 풍산·학암동 준신축 위주로, 과천시(0.17%)는 정주여건이 양호한 중앙·원문동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먄서 "이는 정부의 공급 확대 방안에도 불구하고 재건축·재개발에 대한 기대감과 실수요자의 매수 움직임이 맞물려 시장을 떠받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세시장 역시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의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금리와 정책 환경이 여전히 변수로 작용할 수 있고,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매수세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 공급 대책이나 세제 조정 등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주목된다"며 “단기적 상승 흐름에 편승하기보다는 중장기적 시장 안정 요인과 정부 정책 방향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