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7월 첫쩨 주] 수도권 집값 '숨 고르기' .. 지방은 하락폭 확대 7월 첫 주 아파트 매매가 0.04%↑…전세가도 0.01% 소폭 상승 전문가 “상반기 급등 후 조정 불가피…하반기 관건은 금리와 실수요 회복” 전순애 기자 2025-07-13 09:08:44


메타폴리스/주상복합(자료사진=네이버 부동산 캡처)


[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2025년 상반기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이던 아파트 가격이 7월 들어 주춤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상승폭은 눈에 띄게 줄어드는 모습이다. 반면 지방은 하락세가 뚜렷하게 확대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12일 발표한 ‘2025년 7월 첫쩨주(7.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4% 상승하며 지난주(0.07%)보다 오름폭이 둔화됐다. 전세가격도 0.01% 올라 역시 전주(0.02%)에 비해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강남보다 강북이 오름폭 더 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0.29% 올라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지난주(0.40%)보다는 오름폭이 줄었다. 성동(0.70%), 마포(0.60%), 광진(0.47%), 용산(0.37%) 등 강북 일부 지역의 상승세가 강남권보다 더 두드러졌다. 강남권에서는 양천구(0.55%), 서초구(0.48%), 영등포구(0.45%), 송파구(0.38%)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전문가들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재건축·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상반기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관망세가 맞물리면서 전체적인 상승 폭은 둔화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서울을 제외한 경기(0.04%)와 인천(-0.03%)은 보합세에 가깝거나 소폭 하락했다. 특히 경기 일산동구(-0.22%)와 평택시(-0.22%)는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다. 반면 과천시(0.47%), 성남 분당구(0.46%) 등 일부 인기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지방은 대부분 하락…대전·광주 등 주요 도시도 약세

지방은 전반적으로 하락폭이 커지는 분위기다. 지방 전체 매매가격은 -0.03%로, 5대 광역시(-0.05%), 세종(0.00%), 8개 도(-0.02%) 모두 전주 대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대구(-0.08%), 전남(-0.07%), 대전(-0.07%), 광주(-0.06%) 등은 두드러진 하락세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지방의 경우 수요 회복세가 미미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입주 물량 부담과 경기 둔화 영향이 겹쳐 하락폭이 다소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70곳으로 전주(82곳)보다 감소 한 반면 하락 지역은 97곳으로 증가했다.


전세시장도 관망세…서울 소폭 상승, 인천 하락폭 확대

전세시장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올라 지난주(0.02%)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은 0.03% 상승했으며, 서울은 오히려 상승폭이 0.07%에서 0.08%로 확대됐다.


서울 전세가격은 강동구(0.25%), 송파구(0.23%), 강서구(0.13%) 등이 상승을 주도했으며, 성동구(0.17%)와 광진구(0.13%) 등 강북 주요 학군지 역시 강세를 보였다. 다만 서초구(-0.11%) 등 일부 지역은 하락세로 돌아서며 혼조세를 나타냈다.


인천은 -0.06%로 낙폭이 커졌다. 특히 송도 신도시가 포함된 연수구는 -0.18% 하락하며 입주 물량 영향이 본격화된 모습이다.


전문가 "하반기 시장 변수 많아…금리·정책 방향 주시해야"

부동산 전문가들은 7월 들어 나타난 가격 조정 흐름을 “상반기 급등 이후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조정 국면”으로 해석하고 있다. 동시에 하반기 주택시장은 기준금리 인하 여부, 보유세 변화, 실수요 회복 정도가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향후 부동산시장은 정부의 정책 기조와 금리가 변수"라면서  "하반기 발표가 예상되는 ‘주택시장 연착륙 대책’과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완화 여부에 따라 수요 회복 속도와 시장 심리가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규제 완화보다는 실수요 중심의 공급 확대와 지역 간 불균형 해소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