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3월 셋째 주]'수도권 집값 오름폭 확대 .. 전국 지수도 상승 전환 서울 일부지역의 규제 완화조치로 매수심리가 회복되며 집값 상승 견인 .. 강남에서 강북, 수도권으로 빠르게 상승세 확산 수도권 전역이 서울 접근성을 기준으로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폭 넓혀 .. 전국 지수도 상승, 지방은 하락 폭 축소 부동산업계 "최근의 집값 상승이 규제 완화와 매수 심리 회복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 커" 전순애 기자 2025-03-22 12:33:40


수원아너스빌위즈(사진=네이버 부동산 캡처)


[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최근 서울 일부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달아 올랐다. 규제 완화로 인해 매수 심리가 회복되면서 거래가 활발해졌고, 이에 따라 집값도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특히 강남과 용산, 송파 등 인기 지역에서는 신축 아파트와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크게 올랐다. 강북 일부 지역에서도 개발 호재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경기와 인천 일부 지역에서 교통망 확충과 재건축·재개발 기대감이 커지면서 가격이 오르거나 하락 폭이 축소되고 있다. 과천과 하남 등은 개발 및 인프라 개선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기대감을 높였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데다, 정부가 추가적인 규제 완화 조치를 시행하게 되면 시장이 다시 강세를 보이면서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강남, 용산 등 핵심 지역과 교통 및 개발 호재가 있는 경기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정부 정책과 금리 변동, 경기 회복 여부에 따라 집값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실수요자의 경우 단기적인 가격 상승보다는 장기적인 시장 흐름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3월 셋째 주(3월 17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모두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상승하며 지난주 보합(0.00%)에서 상승세로 전환됐다. 수도권과 서울은 상승폭이 확대됐고,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되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 상승했다. 서울은 0.25%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고, 인천은 0.06% 떨어졌다. 경기는 보합이 유지됐다. 


서울은 역세권과 신축, 대단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이어졌고, 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도 희망가격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강북 지역은 성동구가 행당동과 옥수동의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0.37% 상승했으며, 용산구는 한강로와 이촌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0.34% 올랐다. 마포구는 염리동과 아현동 신축 단지 위주로 0.29% 상승했고, 광진구는 광장동과 구의동 학군지 위주로 0.25% 올랐다. 


강남 지역은 강남구가 압구정동과 대치동의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0.83%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송파구는 잠실동과 신천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0.79% 상승했으며, 서초구는 잠원동과 반포동 위주로 0.69% 올랐다. 양천구는 목동과 신정동의 중소형 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0.32% 상승했고, 강동구는 고덕동과 암사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0.28% 올랐다.


인천은 서구가 청라동과 가정동을 중심으로 0.17% 떨어지며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연수구는 송도동과 동춘동의 입주 물량 영향으로 0.08% 하락했으며, 계양구는 효성동과 계산동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0.05% 떨어졌다. 남동구는 논현동과 서창동을 중심으로 0.03%, 미추홀구는 도화동과 학익동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0.01% 하락하며 인천지역이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 지역은 광명시와 안성시가 각각 0.14% 떨어졌고, 이천시도 부발읍과 대월면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0.12% 하락했다. 반면, 과천시는 재건축 사업이 진행 중인 별양동과 부림동을 중심으로 0.68% 상승했고, 하남시는 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감이동과 학암동을 중심으로 0.13% 상승하며 경기도가 전체적으로 보합을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지난주와 동일하게 0.01% 상승했다. 수도권과 서울은 상승폭이 확대되었으나, 지방은 하락폭이 다소 커졌다. 수도권의 전세가격은 0.04% 올랐고, 서울은 0.07%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인천은 보합을 기록했고, 경기는 0.03% 상승했다.


서울은 일부 외곽 지역과 구축 단지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했지만,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며 상승 계약이 체결되는 등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지속했다. 


강북 지역은 동대문구가 이문동과 휘경동을 중심으로 0.04% 하락했고, 성북구는 하월곡동과 종암동을 중심으로 0.01% 떨어졌다. 반면, 광진구는 구의동과 자양동 학군지를 중심으로 0.11% 상승했고, 용산구는 문배동과 도원동을 중심으로 0.09% 올랐다. 성동구도 하왕십리동과 행당동의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0.07% 상승했다. 


강남 지역은 송파구가 신천동과 문정동의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0.26%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강동구는 암사동과 고덕동의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0.14%, 동작구는 대방동과 상도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0.12% 상승했다. 영등포구는 대림동과 여의도동을 중심으로 0.11%, 강서구는 가양동과 등촌동의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0.07% 상승하며 서울 전세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인천은 미추홀구가 주안동과 용현동을 중심으로 0.09% 올랐고, 부평구는 교통 여건이 양호한 산곡동과 갈산동을 중심으로 0.03% 상승했다. 반면 서구는 청라동과 가정동 신도시를 중심으로 0.08% 하락했고, 중구는 운서동과 운남동을 중심으로 0.03% 떨어지며 인천이 전체적으로 보합을 기록했다. 


경기 지역은 광명시가 철산동과 하안동을 중심으로 0.21% 하락했고, 성남 중원구는 은행동과 여수동을 중심으로 0.18% 떨어졌다. 반면, 과천시는 재건축 이주 수요가 있는 별양동과 부림동을 중심으로 0.42%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안양 동안구는 관양동을 중심으로 0.20% 올랐으며, 성남 수정구는 창곡동과 단대동 역세권을 중심으로 0.17% 올랐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최근의 집값 상승이 규제 완화와 매수 심리 회복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금리 안정화 기대감, 주요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대내외 경제 상황과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서울과 수도권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실질적인 거래량 증가 없이 가격이 오르는 경우에는 시장이 다시 조정 국면에 들어갈 수도 있다”며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입주 물량 증가와 경기 둔화 우려가 맞물려 가격이 다시 안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