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7월 셋째 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전세가 꾸준히 올라 .. 관먕세 지속되며 오름폭은 축소 ..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가 모두 0.01% 상승 .. 수도권 상승 주도, 지방은 낙폭 확대 서울은 재건축 기대감 있는 지역 중심 소폭 상승 전순애 기자 2025-07-26 10:14:14


더샵지제역센트럴파크(자료사진=네이버 부동산 캡처)


[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주택 시장이 저금리 기대감과 정부의 공급 시그널, 세제 조정 가능성과 강력한  대출규제 기조가  교차하는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강 보합 수준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은 입주물량 부담과 수요 부진이 겹치면서 하락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26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7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올랐고, 전세가격은 0.01% 상승했다. 수도권(0.07%→0.06%) 및 서울(0.19%→0.16%)은 상승폭이 축소됐고, 지방(-0.02%→-0.03%)은 하락폭을 넓혔다.


■ 수도권 매매가 소폭 상승… 서울은 재건축 기대 지역 중심 상승

이번 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상승했다. 서울은 0.16% 오르며 여전히 상승세를 주도했으나, 전주(0.19%)보다는 오름폭이 줄었다. 경기(0.02%)는 완만한 상승세를, 인천(-0.02%)은 약보합 흐름을 이어갔다.


서울은 송파구(0.43%), 서초구(0.28%), 용산구(0.24%), 성동구(0.37%) 등 재건축 추진 기대감이 높은 지역과 학군·역세권 수요가 몰린 대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송파·서초·양천·영등포 등 강남권 11개 구 평균 상승률은 0.21%에 달했다.다만 거래량은 여전히 바닥을 맴돌았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 주요 단지에서 간헐적인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나, 금리 인하 시기 불확실성과 정책 방향에 대한 불안감으로 매수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기 지역도 희비 엇갈려… 과천·분당 상승, 평택·일산은 하락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0.02% 상승했다. 과천시(0.38%), 성남 분당구(0.35%)는 학군·정주 여건이 우수하고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올랐고, 안양 동안구(0.17%)도 중소형 단지에 수요가 몰리면서 소폭 상승했다.


반면, 고양 일산서구(-0.13%), 평택시(-0.13%) 등은 입주물량 부담이 지속되면서 하락세가 나타났다. 특히 평택은 고덕신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입주 물량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하락세가 지속됐다.


인천은 -0.02% 하락하며 부진을 이어갔다. 중구(-0.05%)·남동구(-0.04%)·미추홀구(-0.03%) 등 구축을 위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신축·역세권 단지까지 거래가 끊기며 가격이 정체됐다.


■ 전세시장도 ‘제한적 반등’… 입주물량으로 하락 지속

전세가격은 전국 기준 0.01% 올랐다. 수도권은 0.02% 올랐으나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 서울은 0.06% 올랐으나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영향으로 상승세가 축소됐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0.23%), 강동구(0.22%), 강서구(0.13%) 등이 전세 수요 유입으로 상승한 반면, 서초구(-0.16%)는 잠원·서초동에서 신축 물량이 늘어나며  하락 전환됐다.


경기도는 과천(0.33%), 광주(0.23%), 안양 동안구(0.18%) 등이 상승한 반면, 평택(-0.17%), 고양 일산동구(-0.14%)는 약세를 보였다. 인천도 -0.04% 하락하며 서구·남동구·미추홀구 등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하락세가 이어졌다.


■ 지방은 ‘하락세 확대’… 세종 전세는 반등

지방 시장은 매매 -0.03%, 전세 보합(0.00%)을 기록하며 대체로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대구(-0.09%), 대전(-0.07%), 광주(-0.05%), 강원(-0.05%) 등은 수요 부족과 공급 부담으로 하락했다. 세종시는 매매는 보합이나 전세는 0.11% 상승하며 국지적 반등세를 보였다.


■ 거래절벽 속 제한적 반등… 하반기 정책 신호가 관건

부동산업계 전문가는 "최근의 시장 상황은 ‘가격은 반등하나 거래는 회복되지 않는 특이한 비정상적 구조’라면서 "새 정부의 정책 기조가 자리 잡을 때 까지는 이 같은 흐름이  당분간 이어 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하반기에는 ▲공공분양 사전청약 확대 ▲금리 방향성 ▲민간 정비사업 인허가 확대 여부 ▲전월세 신고제의 정착 등이 시장 안정의 주요 변수로 꼽힌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