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경찰, 조지호·김봉식 체포…한덕수 국무총리 소환 통보 비상계엄 당일 국회 통제 지시 혐의 .. 계엄 관련 국무회의 참석자도 수사 확대 수사 주도권 논란 장동근 기자 2024-12-11 09:11:20


우종수 경찰 비상계엄특별수사단장(사진=MBC뉴스 캡처)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이 12.3 내란 사태 당시 국회 출입 통제에 관여한 혐의로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을 긴급 체포했다. 이번 체포로 경찰 수뇌부가 공백 상태에 놓이면서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당일 국회 통제 지시 혐의

조 청장과 김 청장은 12.3 내란 사태 당시 국회 출입을 두 차례 통제하도록 지시하고, 국회의원 등의 출입을 막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조 청장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경찰 병력을 보내 계엄군의 집행을 돕도록 지시한 의혹도 제기됐다.


특수수사단은 어제 오후부터 두 사람을 소환 조사했으며, 혐의의 중대성과 증거 인멸 가능성을 이유로 오늘 새벽 긴급 체포를 결정했다. 경찰은 추가 조사 후 구속영장 신청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계엄 관련 국무회의 참석자도 수사 확대

수사단은 내란 사태 발생 직전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들을 대상으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어제는 해당 국무회의에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소환을 통보했으며, 총 11명의 참석자 중 한 명은 이미 조사를 마쳤다.


특수단은 "출석 통보를 받은 피고발인들이 조사에 불응할 경우, 강제수사 등 법적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사 주도권 논란

한편, 경찰 내부에서는 검찰이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신병을 확보하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출국을 금지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는 것과 비교해, 경찰이 수사 주도권에서 밀리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특수단은 병력 투입 현황과 관련된 자료 확보에도 총력을 다하고 있다. 경찰 수뇌부 공백 사태가 향후 수사 진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