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시의회 김태흥 부의장/정책토론회(사진=의왕시의회)
[경기뉴스탑(의왕)=장동근 기자]수도권 지역에서 대안교육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의왕시의회가 지역 대안교육기관의 발전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학생·학부모·교사 등 현장의 목소리가 직접 전달되며 제도적 보완 필요성이 부각됐다.
교육부·교육청·지자체 공동 책임 강조
29일 열린 토론회는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 개정과 「경기도교육청 대안교육기관 지원 조례」 제정을 계기로 마련됐다.
약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박민형 대안교육연대 정책위원장은 대안교육기관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있어 교육부·교육청·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의왕시 교육경비 보조에 관한 조례」 개정을 통한 제도적 기반 강화와 함께 교사 처우개선비, 수업료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학생·학부모, 교육권 보장과 실질적 지원 촉구
현장 목소리도 이어졌다. 청계자유발도르프학교와 더불어가는배움터길 학생 대표인 이지용·최재희 학생은 학업·진로 선택의 어려움과 제도적 한계를 지적하며, 대안학교 학생들에게도 안정적 교육권이 보장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최문희 학부모는 “대안교육이 학생들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이끌고 있다”며 교사 인건비와 운영비를 포함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요구했다.
시, 제도적 보완과 예산 확대 추진
박선옥 의왕시 체육청소년과장은 현재 의왕시가 운영 중인 대안교육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재정지원 확대, 교사 처우개선비 지원, 조례 개정 등 제도적 보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김태흥 의왕시의회 부의장은 “대안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공공 과제”라며, 시의회 차원에서 지속 가능성과 공공성을 강화할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의왕시에는 현재 더불어가는배움터길과 청계자유발도르프학교 등 2개 대안교육기관에서 333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2025년 기준 지원 예산은 약 2억8천만 원이다. 시는 매년 프로그램비·환경개선비·급식비 등을 지원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