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검사팀의 첫 소환조사를 마치고 서울고검 청사를 나오는 윤석열 전 대통령(사진=MBC 뉴스)
[경기뉴스탑(서울)=장동근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혐의와 관련한 특별검사팀의 첫 소환조사를 받고 29일 새벽 귀가했다. 조사 시간은 15시간에 달했지만 실질적인 피의자 신문은 약 5시간만 이뤄졌으며, 윤 전 대통령 측과 수사팀 간 마찰로 조사가 수차례 중단되며 파행을 겪었다.
윤 전 대통령은 전날 오전 9시 56분,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지하주차장 진입을 요구했으나 특검이 이를 거부하면서 공개 포토라인에 모습을 드러냈다.
조사 중단 사태…경찰 신문 거부하며 ‘수사 자격’ 문제 제기
오전에는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의 주도로 약 1시간가량 신문이 진행됐다. 하지만 점심 이후, 윤 전 대통령 측은 박 총경이 과거 불법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해 고발된 당사자라며 "가해자에게 신문을 받을 수 없다"고 주장, 질문자 교체를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조사는 3시간 이상 지연됐다.
특검은 "수사 대상이 조사자를 선택할 수 없다"며 "허위 주장을 반복하는 변호인에 대해서는 수사 착수도 검토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나, 결국 오후 4시 45분까지 계획된 조사를 진행하지 못했다.
이후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가 나서면서 체포 방해 혐의가 아닌 국무회의 의결 과정, 외환 관련 혐의 등으로 조사 방향이 전환됐다. 윤 전 대통령은 조사에 응했고, 오후 8시 25분부터 재개된 심야 조사에 자발적으로 동의했다.
“2차 소환 불가피”…특검 “소환 횟수 제한 없어”
윤 전 대통령은 새벽 1시께 조서를 검토하고 서명·날인한 후 귀가했다. 그는 오전 경찰 조사 조서에는 서명을 거부했지만, 오후 검찰 신문 조서에는 서명했다. 진술 거부권은 행사하지 않았다.
특검은 이날 조서 열람이 끝난 직후 윤 전 대통령에게 30일 오전 9시 2차 출석을 서면으로 통보했다. 비화폰 정보 삭제 지시 혐의 등 1차 조사에서 다루지 못한 핵심 의혹들을 추가로 확인할 방침이다.
특검 측 박지영 검사보는 “윤 전 대통령 조사에 필요한 내용이 상당 부분 남아 있다”며 “수사에 필요하다면 소환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전·현직 국무위원들에 대한 추가 소환 조사도 예정돼 있으나, 일정은 비공개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적법한 소환에는 출석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체포 방해 혐의와 관련한 경찰 조사를 다시 거부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향후 조사 진행에 난항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