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尹, 끝까지 책임 회피하며 색깔론과 야당 탓 윤 대통령, 비상계엄이 정당한 조치였다는 기존 입장 반복 ..'경고성 계엄'이라는 종전의 주장 되풀이 윤의 최후 진술, 반성과 책임 인정 대신, 야당을 향한 비난과 색깔론으로 가득 장동근 기자 2025-02-26 09:09:56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11차 변론에서 최후진술을하고 있다.(사진=MBC뉴스)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11차 변론에서 최후진술을 통해 끝까지 책임을 회피하며 억지 논리로 자신을 비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민 앞에 죄송하다는 말을 하긴 했으나, 이는 마치 자신을 믿어주는 이들에게 전하는 듯한 어조였고, 실질적인 반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이 정당한 조치였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하며 국회의 무력화 시도, 계엄 해제 방해, 정치인 체포 시도 등 명백한 증거들이 차고 넘침에도 불구하고 '경고성 계엄'이라는 종전의 주장을 고수했다. 


특히 그의 발언 중 "군인이 민간인을 폭행하거나 위해를 가한 일이 없었다"는 주장은 명백한 사실 왜곡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계엄 직전 단 5분간 열린 회의를 두고도 안건 설명, 회의록, 행정서명 없이 국무회의가 성립했다고 주장하며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려 애썼다. 이는 법적, 정치적 상식에 어긋나는 해석으로, 정당한 의사결정 과정이 없었던 점을 감추려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은 반성과 책임 인정 대신, 야당을 향한 비난과 색깔론으로 가득 찼다. 


그는 "무려 178회의 대통령 퇴진, 탄핵 집회가 열렸고, 거대 야당 의원들이 발언대에 올랐다"며 "북한의 지령대로 된 것 아니냐"는 시대착오적인 음모론을 꺼내 들었다. 


그러면서 "2시간짜리 내란이라는 것이 있느냐"며 국회가 계엄 해제를 요구하자 병력을 철수한 점을 들어 내란이 성립될 수 없다는 논리를 펼쳤다.


윤석열 대통령은 끝까지 자신을 방어하는 데 급급하며, 국민 앞에 진정성 있는 반성이나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탄핵 심판 과정 내내 드러난 그의 태도는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경시하는 위험한 행태로, 국민의 신뢰를 더욱 잃게 만들고 있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