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사진=대통령실)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의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비상계엄 당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해명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내란 프레임으로 만들어낸 체포, 누구를 끌어내는 일, 그런 일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더니 곧이어 계엄군이 아닌 시민들이 폭력을 행사했다고 강조하며 국민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았다.
"계엄 상황에서 경비와 질서 유지를 하러 간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들한테 폭행을 당하는 그런 상황이었다"며 계엄군의 무력 행사보다는 시민들의 저항을 문제 삼은 것이다.
윤 대통령 측 대리인인 도태우 변호사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는 "특전사 16명이 부상을 입었다"며, 한 지대장이 철수하면서 "저도 많이 맞았습니다"라고 말했다는 일화를 소개하며 시민들의 폭력을 강조했다.
그러나 검찰의 공소장은 이와 배치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검찰은 "계엄군이 국회의원들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하려다 시민 저항을 받았다"고 명시했으며, 국회사무처도 "계엄군이 국회 본회의장에 난입하려는 과정에서 경호기획관실 직원 1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고, 시설·설비·집기가 파손돼 6,600만 원 상당의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한 윤 대통령은 야당을 향한 불만도 표출했다. 그는 "아무리 미워도 그래도 얘기 듣고 박수 한번 쳐주는 것이 대화와 타협의 기본인데, 제가 취임하고 갔더니 의사당에 들어오지도 않았다"며 국회와의 소통 부재를 야당의 책임으로 돌렸다.
이에 대해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은 "환대하지 않으면 총 들고 국회에 쳐들어와도 되느냐"며 윤 대통령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계엄군의 폭력을 부정하고 시민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로 해석되며, 이에 대한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