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서울)=장동근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21일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외국군 없이는 국방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은 굴종적 사고”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첨단 전력과 예비 병력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기존 징병 중심의 군 구조를 스마트 강군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인구 감소로 병력 자원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나, 단순한 병력 수 비교로 국방력을 평가할 수는 없다”며 “AI 전투로봇, 자율드론, 초정밀 미사일 체계를 갖춘 50명의 병력이 수천 명의 적을 상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무인 복합체계로 무장한 전문화된 정예 군대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과의 군사력 비교에 대해서는 “상비군 수는 적지만, 즉시 투입 가능한 예비 병력이 260만 명에 달한다”며 “우리의 국방비는 북한 GDP의 1.4배 수준이며, 경제력과 인구에서도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대통령은 “경제력과 문화력을 포함한 통합 국력을 강화하고, 방위산업을 육성하며, 다자안보협력 체계를 확보해 외국군에 의존하지 않는 완전한 자주국방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과거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국방비를 많이 쓰는 나라에서 외국군 없이는 국방이 안 된다는 인식은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세계는 평화와 공존의 시대를 지나 대결과 무력충돌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강력한 자율적 자주국방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진단했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저력을 모아 위기를 기회로 바꿔온 우리는, 강력한 국방개혁을 통해 완전한 자주국방 태세를 갖춰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