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김동연, 집중호우 수습·복구 직원들에게 네 가지 긴급 당부 “특별재난지역은 피해 ‘결과’ 아닌 ‘예측치’로 판단해야” “도민 상실감 공감하는 섬세한 복구 필요…가축 유산 피해도 포함” “안전사고는 인재… 구조 활동 시 철저한 사전 점검 필수” 장동근 기자 2025-07-21 18:10:15


21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성중 행정1부지사, 김재병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등이 집중호우 피해의 신속 수습‧복구 지원을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오전 열린 긴급대책회의에서 집중호우 피해 수습과 복구를 위한 네 가지 핵심 당부 사항을 전달하며, “현장은 빠르고 정교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특히 예측치를 기반으로 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도민 정서에 공감하는 맞춤형 지원, 소하천 정비와 방역 강화를 통한 2차 피해 차단, 구조 인력의 안전 확보 등을 강도 높게 지시했다.


“행정경계보다 도민 현실”… 특별재난지역 지정 방식 개선 촉구

김 지사는 이번 회의에서 가평군 외에도 포천시 등 경기북부 다수 지역의 피해가 심각하다며 “특별재난지역 지정 시 행정경계보다는 실제 피해 규모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 제도는 피해 결과를 기준으로 판정하기 때문에 복구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 통화에서 ‘예측치’를 기준으로 빠르게 지원을 준비하자고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와 관련해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이뤄지지 않는 지역에 대해 자체적으로 ‘특별지원구역’을 지정하고, 도 재해구호기금을 통해 복구비의 50%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제도는 올해 도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새로운 지원책이다.


“젖소 유산, 쓰러진 벼… 도민의 상실감에 공감하는 복구 필요”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섬세한 지원도 주문했다. 김 지사는 “젖소가 스트레스로 유산하고, 벼가 쓰러지고, 양식장이 파괴되는 등 농축산업 피해가 크다”며 “이들의 상실감에 공감하는 보상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가축재해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사례들을 적극적으로 챙겨볼 것을 관련 부서에 지시하며 “직접 농사짓고 소 키우는 마음으로 접근하라”고 당부했다.


도는 지난해 폭설 피해 당시 적용한 농축산 지원 사례를 바탕으로 이번 수해 피해 농가에 대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다.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쳐야”… 사후 소하천 정비 및 방역 총력

소하천 및 도로 정비, 방역 대책에 대해서도 강하게 주문했다. 김 지사는 “가평 대보교 주변에서 준설이 미흡해 피해가 커졌다는 주민 이야기를 들었다”며 “피해 이후라도 즉시 조치를 해야 주민 불안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피해 지역을 소하천 정비 지원 우선순위에 포함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가평과 청평 일대에는 인근 시군 보건소까지 동원한 전면적 방역 지원을 주문했으며, 필요 시 경기 남부 지역 보건소까지도 투입할 방침이다.


“재난 아닌 인재 막아야”… 구조·수습 과정 안전 철저 지시

마지막으로 구조 인력의 안전 확보에 대한 당부도 이어졌다. 김 지사는 “육안으로 멀쩡해 보이는 다리와 도로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며 “헬기 사고나 구조 과정 중 발생하는 인재성 2차 피해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돌다리도 두드린다는 자세로, 구조 요원의 생명과 안전을 우선으로 고려하라”며 현장 대응 시 철저한 사전 점검을 당부했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20일 가평 수해 현장을 직접 점검한 데 이어, 22일에는 수색 구조 현장 및 이재민 대피소를 다시 방문해 후속 지원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