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공수처, 대통령실 압수수색 마무리…‘채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 수사 본격화 'VIP 격노설’ 핵심 자료 확보…대통령실 회의 기록 등 임의제출 윤 전 대통령·이 전 장관 직권남용 혐의 수사 본격화 전망 장동근 기자 2025-05-09 08:40:34


공수처가 8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약 6시간 동안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벌여  관련 자료 일부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하며 수색을 마무리 했다. (사진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외압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이틀에 걸쳐 진행한 가운데, 8일 관련 자료 일부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하며 수색을 마무리했다.


공수처는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약 6시간 동안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전날에는 협의 미비로 수색을 중단했지만, 이날은 대통령실 측의 협조 아래 비교적 순조롭게 절차가 이뤄졌다고 공수처는 밝혔다.


이번 압수수색은 이른바 ‘VIP 격노설’이 불거졌던 지난해 7월 31일 전후의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출입 기록, 내부 통신망 내선번호 ‘02-800-7070’의 통화 내역 등 확보를 목적으로 진행됐다. 공수처는 이 가운데 일부 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의 중심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피의자로 적시된 직권남용 혐의가 있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해 경찰에 이첩하려던 과정에 대통령실과 국방부의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이 전 장관은 당시 해병대 수사단의 보고를 결재한 뒤, 하루 만에 돌연 사건 이첩을 보류하라고 지시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 결정의 배경에, 윤 전 대통령이 관련 보고를 받은 회의에서 강한 불만을 표시하며 질책했다는 ‘VIP 격노설’이 제기된 바 있어, 공수처는 이 회의 내용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을 계기로 공수처 수사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장관 등 핵심 인물에 대한 조사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편, 공수처는 압수수색 이후 추가 자료 분석과 관련자 진술 확보에 주력하며 진상 규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