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인 양우식 의원(국민의힘·비례)의 발언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지난 2월 19일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업무보고에서 "회기 중 의장 개회사와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언론사 1면에 실리지 않으면 홍보비를 제한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명백한 언론 탄압이자,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발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과 궤변으로 사태를 축소하려 하고 있다.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윤리위원회를 열어 징계 절차를 밟기로 했다. 전국신문통신노동조합협의회 또한 강력한 성명을 통해 "언론 탄압을 시도한 양 의원을 엄중히 징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언론의 자유를 짓밟으려는 시대착오적 행태이며,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문제라는 점에서다.
양 의원의 태도는 더욱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사과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그는 진정한 반성과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기는커녕, 언론의 비판을 '불의'로 치부하며 자신을 합리화하는 데 급급했다. 이는 정치인의 기본적 자질을 의심케 할 뿐만 아니라, 공인의 자세로서도 결격 사유가 명백하다.
경기도의회와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더 이상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해서는 안 된다. 윤리위원회를 통한 징계가 '솜방망이 처벌'로 끝난다면 이는 또 다른 면죄부를 주는 것에 불과하다. 전국신문통신노동조합협의회가 요구한 대로, 양 의원의 탈당 권고 및 당직 박탈 등 강력한 징계 조치가 내려져야 한다.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훼손한 정치인을 단호하게 처벌하지 않는다면, 국민의힘은 물론 경기도의회 전체가 신뢰를 잃을 수밖에 없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개인의 일탈이 아니다. 정치권이 언론을 길들이려는 행태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경기도의회는 즉각적인 징계 절차를 밟고,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이에 응당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 만약 이를 소홀히 한다면, 언론과 시민사회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경기도의회의 존재 이유는 권력 감시와 민주주의 수호이지, 특정 정치인의 권력 남용을 방조하는 곳이 아니다. 양 의원의 망언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행위다. 이제 국민과 언론이 지켜보고 있다. 그에 걸맞은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