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청(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최신
[경기뉴스탑(용인)=박찬분 기자]용인특례시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분석을 접목한 체납차량 단속체계를 전면 개편하며 정밀 단속에 나선다. 시는 기존 주소지 기반 단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 기반 체납차량 출현지도’를 구축하고, 사전예측형 단속 시스템으로 전환한다고 13일 밝혔다.
새로운 단속체계는 주정차위반 단속 CCTV 데이터를 분석해 명의도용 차량이나 상습 체납차량이 자주 출현하는 위치를 AI 기술로 지도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무작위 단속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정밀 단속이 가능해졌으며, 단속 성공률과 행정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올해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매월 데이터를 갱신해 출현지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방침이다. 실제로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310개 CCTV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빈도 출현 지점에서 단속을 실시한 결과 6시간 걸리던 번호판 영치 작업을 1시간 30분 만에 완료하는 성과를 거뒀다.
단속 대상은 자동차세 및 주정차 위반 과태료 체납액이 30만 원 이상인 차량이며, 특히 명의도용 의심 차량, 폐업법인·사망자 명의 차량 등 실질적 추적이 어려운 상습 체납차량을 중점적으로 단속한다.
시 관계자는 “AI 기반 출현지도를 통해 단속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고,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 차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지속가능한 단속 시스템을 통해 체납 해소와 공정한 행정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현재 용인시는 총 8,086대의 체납차량을 파악하고 있으며, 이들이 체납한 금액은 약 60억 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