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전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특별토론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경기뉴스탑(파주)=이윤기 기자]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한반도 평화와 접경지 발전을 위한 3대 평화경제 전략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경기도가 남북 평화·번영의 길을 굳건히 뒷받침하겠다”며 구체적인 실행 구상을 내놨다.
DMZ 재생에너지 허브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첫 번째 전략은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김 지사는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해 남북 공동 전력망을 구축하자는 계획을 밝혔다.
이는 문재인 정부 시절 제안된 ‘DMZ 솔라파크’와 최근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가 건의한 ‘평화에너지벨트 구상’을 계승·발전시킨 것이다.
그는 “재생에너지로 반도체·AI 등 첨단산업의 전력을 공급하고, 경기 북부 주민들에게 이익을 공유하겠다”며 “경기도가 앞장서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기후경제 전진기지로
두 번째 전략은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지정과 기후테크 클러스터 조성이다.
김 지사는 “평화경제특구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며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평화경제특구는 고양·파주·김포·양주·포천·동두천·연천 등 경기북부 7개 시군을 포함해 인천·강원과 함께 지정이 추진된다. 지정 시 세제 혜택과 자금 지원을 통한 산업단지 및 관광특구 조성이 가능하다.
반환공여지 22곳, “평화·번영의 플랫폼으로”
세 번째 전략은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이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는 캠프그리브스를 비롯해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가 22곳 있다”며 “교통 인프라 확충과 규제 완화를 통해 지역 주도의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주도성·전향성·지역 중심’의 3대 원칙 아래 경기도 재정을 직접 투입해 반환공여지를 평화와 번영의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김 지사는 “‘9.19 평양공동선언’은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이며, ‘9.19 군사합의’는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며 “이 선언들을 이정표 삼아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또한 “지난 3년간 중앙정부와 단절된 채 기념식을 치러야 했지만, 올해는 정부와 함께 준비한 첫 행사”라며 정권 교체에 따른 변화를 실감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날 기념식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우원식 국회의장,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비롯한 역대 통일부 장관, 민주당 의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남·북·미 정상의 역사적 결단이 한반도 평화의 문을 다시 열길 바란다”고 말했다.
과거 주한미군 최전방 기지였던 캠프그리브스는 현재 평화와 생태의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 상징적인 장소에서 열린 이번 기념식은 경기도와 정부가 손잡고 평화경제의 미래를 준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