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경기도농업기술원, 토마토 바이러스병 확산 대비 초기 잡초·매개충 관리 당부 토마토 바이러스병 확산 주의. 잡초 제거 및 매개충 사전 방제가 핵심 감염 식물체 신속히 제거, 정식 전 재배포장 주변 전염원 잡초 제거 철저 .. 출입문·측면 창에 방충망, 끈끈이 트랩 설치하고 정식 초기 약제 방제 당부 장동근 기자 2025-08-27 07:24:52


토마토 TSWV 감염 과실피해 증상(사진=경기도)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경기도농업기술원은 최근 토마토 재배지에서 바이러스병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며 시설 내외부 잡초 제거와 매개충 초기 방제 등 철저한 주변 환경 관리를 당부했다.


도내 주요 발생 바이러스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토마토퇴록바이러스(ToCV) 등으로평택·광주·용인 등 9개 재배지 조사 결과 최근 3년간 발병률이 꾸준히 상승했다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202230%, 202322%, 202444%로 나타났고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와 토마토퇴록바이러스는 같은 기간 10%22%33%로 증가했다.


올해 7월 광주·평택·양평 등 8곳에서 실시한 조사에서는 별꽃·뽀리뱅이·큰방가지똥 등 동계 일년생 잡초와 가는잎한련초·개비름·닭의장풀·미국까마중 등 하계일년생 잡초 9종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돼잡초가 주요 매개원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됐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토마토는 잎 말림·괴저(괴사황화·시듦 증상이 나타나며 정상적인 착과가 어렵고 수확량이 급감한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토마토퇴록바이러스의 매개충은 각각 담배가루이담배가루이·온실가루이로단순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그러나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매개충인 총체벌레는 농작업 중 작업 도구에 의해 전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예방을 위해 ▲재배시설 내외부 잡초 주기적 제거 ▲출입구·환기구 50메쉬(1~2mm) 방충망 설치 ▲끈끈이 트랩 활용 ▲매개충 발생 초기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살포(3~7일 간격▲감염 개체 즉시 제거 등을 권장했다.


박중수 환경농업연구과장은 토마토 바이러스병은 정식 초기 시설 내외부 환경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의심 증상이 보이면 경기도 사이버식물병원(plant119.kr)에 진단을 의뢰해 신속한 대응 방법을 확인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