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사설] 여야정협치위원회 재가동, 경기도의회가 실천으로 증명해야 할 때 "실천 없는 협치는 공허하다”… 경기도의회, 협치 복원의 책임자 되어야 재정전략회의 등 제도화 과제…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한 정책 실행이 관건 편집국 2025-08-13 15:22:52


경기도의회(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지난 13일 ‘2025년 여야정협치위원회 협약식’을 통해 협치의 시계를 다시 돌리기 시작했다. 2023년 이후 사실상 중단됐던 협치 채널이 재가동되며, 도정의 주요 현안과 민생 과제 해결을 위한 협력의 틀이 복원된 것이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형식적 출범이 아니라, 경기도의회가 실질적 협치의 주체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해야 할 분명한 계기를 제공한다.


경기도의회는 1,420만 도민의 삶을 책임지는 지방정부의 입법기관이다. 그만큼 도민의 기대와 요구는 높고, 의회의 존재 이유는 명확하다. 김진경 의장이 “이제 중요한 것은 실천”이라고 강조한 것처럼, 협치의 복원은 선언이 아니라 행동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여야정협치위원회가 단순한 협의체를 넘어, 도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정책 조율의 장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의회의 주도적 참여와 실행력이 필수적이다.


이번 협약으로 협치위원회는 기존 22인에서 14인으로 축소되며, 집중도 있는 논의가 가능해졌다. 특히 도의회 측은 의장과 양당 대표의원, 정책위원장, 수석대변인 등 핵심 인사들이 참여하며, 실무회의와 분기별 정례회의를 통해 도정과 조례, 예산안 등 주요 사안을 사전 협의하게 된다. 이는 의회가 단순히 견제와 감시의 기능을 넘어, 정책 설계와 실행의 동반자로서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구조다.


더욱이 김진경 의장이 제안한 ‘재정전략회의’는 도의회가 도 재정 운영의 방향성을 함께 논의하는 기구로, 협치의 실질적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핵심 장치가 될 수 있다. 도의회가 이 제안을 단순한 구상에 그치지 않고, 실행 가능한 제도화로 이끌어낸다면 협치의 진정성을 입증하는 상징적 사례가 될 것이다.


물론 협치에는 정치적 입장 차이와 정쟁의 유혹이 늘 존재한다. 그러나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과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의원이 강조했듯,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공동의 목표만을 기억한다면 소통과 협력은 충분히 가능하다. 도의회는 이념과 당파를 넘어 도민을 위한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해야 한다.


경기도의회는 이제 협치의 복원이라는 기회를 맞아, 그동안의 정체를 딛고 도민 중심의 의정활동으로 나아가야 한다. 여야정협치위원회는 그 출발점일 뿐이다. 진정한 협치는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로 이어질 때 완성된다. 경기도의회가 그 중심에서 실천의 정치를 보여주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