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동두천에서 민생경제 현장투어 나선 김동연,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은 경기북부 바꿀 게임체인저” 옛 캠프 캐슬 부지였던 동양대 동두천캠퍼스에서 미군반환공여구역 개발 주제로 현장 간담회 열어 김동연, 3천억 개발기금과 규제개혁, 교통인프라 등과 함께 장기미반환공여구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추진지원단 구성 등 추진계획 밝혀 이종성 기자 2025-10-17 09:24:42


김동연 지사가 16일 동두천시 동양대학교 동두천캠퍼스에서 열린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경기도)


[경기뉴스탑(동두천)=이종성 기자]현장에서 도정 현안을 점검하고 도민들의 목소리를 듣는 민생경제 현장투어를 진행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번째 방문지로 동두천시를 찾았다김 지사는 지역현안인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대해 이제까지와 전혀 다른 접근과 시도를 통해 미군공여구역을 경기북부를 바꿀 게임체인저로 만들어가겠다고 반환공여지를 활용한 북부대개조 사업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김동연 지사는 16일 동두천시 동양대학교 동두천캠퍼스에서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현장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동양대학교 동두천캠퍼스는 옛 캠프 캐슬 부지로지난 2015년 일부가 반환된 뒤 2016년 개교했다반환공여지 활용에 큰 의미가 있는 장소다.


김동연 지사는 게임을 하는데 불리한 상황이 계속 될 때 단번에 게임을 바꾸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것을 게임체인저라 한다경기북부는 70년 이상 중복규제와 미국공여지역 등 여러 가지 불이익을 겪어 왔다지사 취임하고 이런 경기북부에 대한 게임체인저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늘 했다북부대개조사업은 그렇게 해서 이야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반환공여구역에 대한 개발이야말로 게임체인저 중에서도 핵심 중 핵심이다마침 국민주권정부 들어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미반환공여구역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박형덕 시장님과도 물 들어오고 있으니 힘껏 노를 젓자는 이야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제까지와 전혀 다른 접근과 시도를 통해서 게임체인저를 만들도록 하겠다중앙정부가 나서기 전에 경기도가 동두천시와 함께 선제적으로주도적이고 전향적이고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끔 하겠다고 하는 것이 경기도의 의지라며 “3천억 개발기금과 규제개혁교통인프라 등과 함께 장기미반환공여구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추진지원단을 구성하겠다게임체인저를 만드는 데 함께 힘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동두천 미군 반환공여구역은 40.63(1,229만 평)로 동두천시 전체 면적(95.7)42%를 차지하고 있다캠프 캐슬은 20153월 일부가 반환돼 동양대학교가 들어서고 님블은 2007년 일부가 반환돼 수변공원으로 조성됐으며 짐볼스훈련장은 2005년 반환돼 수목원과 산림복지타운이 추진 중이나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나머지 캠프 모빌·케이시·호비는 장기 미반환 상태로 남아있다미반환 면적은 17.4(527만 평)에 이른다.


경기도는 주도성전향성지역중심’ 3대 원칙 하에 지난 8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추진 전담조직(TF)’을 발족해 운영 중이다.


도는 앞으로 10년간 3천억 원 규모의 개발기금을 조성해 토지매입비와 기반시설 조성비를 직접 지원하고규제완화·세제지원을 통해 사업 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 국토부에 개발제한구역(GB) 해제 지침 완화 개정을 건의하고, ‘경기도 도세 감면조례를 개정해 취득세 면제 대상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과 공공기관까지 확대하는 등 규제완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KTX 파주 연장과 GTX-C 동두천 연장 등 등 연계 철도망 구축을 강화하고 2040년까지 23천억 원을 투입해 지방도 9개 노선을 신설하는 등 기반시설도 확충해 경기북부의 접근성과 성장 잠재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경기도는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구역 22개소(72중 약 40%(29)20년 이상 미반환 상태로 남아 있는 현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장기 미반환 공여구역 국가 지원 확대를 위한 입법지원단을 새로 구성해 추진한다.


입법지원단은 균형발전기획실장을 단장으로도와 시군법률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미반환 공여구역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 대한 실질적 보상과 지원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법령 제·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