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경기도, 내년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맞춰 사전 준비 매진 경기도, 현장 맞춤형 돌봄 실무교육과 컨설팅으로 실행력 강화 31개 시군 599명 참여, 경기도 돌봄통합지원 대규모 실무교육 성료 .. 도-시군 정례 운영회의로 돌봄서비스 자원 확보 및 연계 촘촘히 점검 장동근 기자 2025-09-25 09:58:32


경기도청(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경기도가 내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에 대응해 시군 교육과 컨설팅-시군 운영회의를 통해 돌봄 통합지원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법률은 노쇠장애질병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이 익숙한 지역에서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시군 간 협력과 자원 연계가 핵심이다.


이에 경기도는 현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8월 경기복지재단 내 돌봄통합지원단을 신설해 대규모 교육과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으며정례적인 운영회의를 통해 준비 상황과 정책 시행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시군 실무자 교육은 825일부터 910일까지 총 6회에 걸쳐 진행했으며경기도 31개 시군에서 599명의 본청 및 읍··동 돌봄 담당자가 참여해 통합돌봄 분야에서 광역 단위 최대 규모의 교육성과를 달성했다.


교육 과정은 ▲돌봄 통합지원의 이해 ▲통합판정체계 ▲통합지원 운영사례 ▲통합지원계획 수립 등 실무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구성했다.


지난 918~19일에는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했다통합돌봄 분야 전문가와 선도 시군 공무원이 함께 참여해 각 시군의 실행계획서 수립을 지원했다.


10월부터는 31개 시군의 과장급 관리자 교육과 직접 찾아가는 현장교육을 추가로 실시하며각 시군과 1:1 컨설팅단을 매칭하는 심화 컨설팅 등 맞춤형 지원을 실시한다.


또한 도-시군 운영회의도 정례화해 본격적인 협의와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정례회의에서는 시군별 서비스 제공 기반 구축 현황돌봄 서비스 자원 확보 계획 및 현장의 준비 상황 등을 점검하며지역별 맞춤형 지원 방향과 정책 실행 과정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실질적으로 논의한다.


도는 이미 2024년부터 누구나 돌봄’ 서비스를 도입해 생활돌봄·동행돌봄·주거안전·식사지원·일시보호·재활돌봄·심리상담 등 지역사회 통합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지난 8월 기준 누적 이용자가 25천 명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며경기도형 통합돌봄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해련 경기도 복지정책과장은 돌봄통합지원법 시행까지 6개월 남은 시점에서 교육과 컨설팅자원 확보 등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모든 준비를 빈틈없이 추진하고 있다경기도는 모든 도민이 생애 전반에 걸쳐 안심할 수 있는 통합돌봄 환경을 완성해 촘촘하고 세심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