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사설[ 경기도의회·교육청 여야정협치위원회 출범 .. 실질적 성과로 이어가야 명분에서 실천으로: 제도화된 협치의 의미 교육 현안 해결, 정치적 합의 없인 불가능 .. 투명한 소통과 성과로 신뢰 구축해야 편집국 2025-09-09 20:41:42

경기도의회(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도의회가 경기도에 이어 경기도교육청과도 ‘여야정협치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의회와 집행부, 그리고 교육청까지 모두를 포괄하는 협치 구조가 완성되면서, 도정과 교육 전반을 아우르는 제도적 협력 채널이 본격 가동되는 셈이다. 

이는 명분과 상징성 모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갖는다. 정치적 갈등이 일상화된 현실에서 협치가 구호에 머물지 않고, 실제로 제도적 틀 안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여야정협치위원회는 교육 현안을 중심으로 조례안과 예산안, 사회적 쟁점에 대한 공동 논의와 합의를 모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특히 교섭단체 정책 책임자들과 도교육청 실무진이 함께 참여하는 안건조정회의를 병행 운영하기로 한 것은 신속성과 실효성을 담보하려는 장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협치가 진정한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선언이나 형식적 협약에 그쳐서는 안 된다. 

경기도교육청을 둘러싼 현안은 결코 가볍지 않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 인프라 재편,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 교사 처우 개선, 교육재정의 효율적 배분 등은 어느 하나도 단순히 교육청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도의회의 정치적 합의와 초당적 지원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정책은 실행력을 갖게 된다. 

또한 협치가 진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교육의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 “아이들을 위하는 마음 하나로 지혜를 모으겠다”는 의장의 다짐과 “정치적 논리가 아닌 교육이라는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는 여야 대표 의원들의 발언은 바로 그런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 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협치는 갈등을 덮는 도구가 아니라, 갈등을 제도 안에서 조정하고 사회적 합의로 이끄는 과정이다. 따라서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교육청이 이번 협치위원회를 통해 보여주어야 할 첫 번째 성과는 ‘투명하고 개방적인 소통’이다. 논의 과정을 도민과 학부모, 교원들에게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그 속에서 신뢰를 쌓아 나가야 한다. 

경기도의회·교육청 여야정협치위원회 출범은 분명 새로운 시작이다. 그러나 진정한 평가는 앞으로의 행보에 달려 있다. 초당적 협력의 정신을 잃지 않고, 구체적 정책 성과로 학생과 학부모, 나아가 도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낼 때 비로소 협치는 ‘완성’이라는 이름에 걸맞을 것이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