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경기도, 품종개발부터 레저시설 구축까지 해양산업 육성 5개년 계획 확정 수산·레저·물류·자원 4대 분야 51개 사업 추진…경기바다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5개년 5,800억원 투자…수산부터 해양레저·관광·신산업까지 종합 육성 전략 추진 전순애 기자 2025-09-08 09:14:28


경기도(청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경기도가 기후변화 적응형 양식품종 개발경기해양레저 클러스터 구축 등 해양산업 육성에 2026년부터 5년간 5,800억 원을 투자한다.


경기도는 해양산업의 체계적 발전을 위해이 같은 내용의 경기도 해양산업 육성계획(2026~2030)’을 수립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경기도 해양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른 25개년 종합계획으로 ▲수산물 생산·유통·가공 ▲해양레저·관광 ▲해운항만물류 ▲해양자원 등 10대 중점과제를 중심으로 총 51개 세부 사업을 5년간 추진한다.


수산물 생산·유통·가공 분야에서는 기후변화 적응형 양식품종을 개발하고, ‘경기 내수면 수산식품산업지원센터를 구축해 간편식 밀키트 등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등 18개 사업에 998억 원을 투입한다.


해양레저·관광 분야에서는 해양레저 인프라 확충을 위한 거점형 센터인 경기해양레저 클러스터와 레저선박 보관과 유지관리 서비스를 위한 레저선박 계류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또 도내 해양레저 기업 대상 해외판로 개척 지원경기바다 8경 관광코스 개발 등 24개 사업에 3,983억 원을 투입한다.


해운항만물류 분야에서는 평택항을 이용하는 선사 등에 장려금을 지원하는 화물유치 지원평택항 항만배후단지 조성 등 평택항 활성화에 5개 사업에 772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해양자원 분야에서는 블루카본’ 확보를 위한 염생식물 단지 조성블루카본 탄소 흡수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4개 사업에 65억 원을 투입한다블루카본은 바닷속 해조류나 갯벌 퇴적물 등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말한다.


도는 이번 육성계획을 통해 경기바다의 수산자원을 보전하면서 해양레저관광 확대해운물류 경쟁력 강화 신산업 기반 조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박종민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이번 계획은 경기바다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종합 청사진이라며 경기도가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으로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꾀하는 블루이코노미’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경기도는 2011경기도 해양산업 육성 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2013년 첫 해양산업 5개년 계획을 수립해 도내 해양산업의 발전 기반을 마련해 왔다올해는 경기도 해양레저관광진흥 조례’, ‘경기바다 브랜드 활용 및 홍보 활성화 조례를 신규 제정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