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경기도, 접경지역 빈집 정비사업 대상 가평군 포함 8개 시군으로 확대 경기도, 접경지역 빈집 정비사업 대상 확대 … 가평군까지 포함 추진 올 하반기 8개 시군에 ’26년 빈집 정비사업 대상 사전조사 실시 .. 방치된 공간의 재생을 통한 주민 삶의 질 개선 및 접경지역 활력 제고 기대 이윤기 기자 2025-08-12 10:56:28


경기도북부청(사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의정부)=이윤기 기자]경기도가 접경지역 내 빈집을 정비해 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접경지역 빈집 정비사업’ 대상지역에 가평군을 추가해 내년부터 총 8개 시군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올해 3월 접경지역에 편입된 가평군을 사업 대상에 포함하기 위해 하반기 사전 수요조사를 거쳐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빈집 정비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기존 사업 대상지역은 고양파주김포양주포천동두천연천 등 7개 시군이었다.


경기도는 올해도 7개 시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통해32곳을 빈집 정비사업 대상으로 선정했다해당 빈집에는 총 33천만 원의 예산을 투자해 철거와 공공활용을 추진한다철거는 개당 최대 2천만 원나대지 공공활용은 개당 최대 1천만 원까지 지원한다.


빈집 정비사업은 단순히 노후·위험 주택 철거를 넘어마을쉼터·소공원·공공주차장 등 주민 공동체의 중심 공간으로 재구성해 정주여건을 개선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실제로 2018년부터 현재까지 510채의 빈집을 마을정원주차장 등 공공장소로 변경하며 접경지역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경기도는 가평군의 지형적 특성에 따른 관광자원도심과의 거리 등을 고려할 때 빈집 철거와 나대지 활용의 파급력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상수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가평군의 접경지역 추가 지정과 이에 따른 사업의 확대는 기존 사업의 성과를 더욱 견고히 하고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분기점 될 것이라며 하반기 사전조사를 통해 가평군 내 빈집 현황과 주민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고향후 지속가능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시군 및 중앙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빈집 정비사업의 제도적 기반을 더욱 정비하고접경지역이 마주한 인구 감소와 주거환경 악화의 문제를 구조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