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경기도 제조업체 상당수가 퇴직자 재고용을 통해 숙련된 인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보다 유연한 재고용 제도가 현장의 실질적인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는 6월 10일, 도내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경기도 사업체 계속고용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고령 인력의 재고용 현황과 고용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실태를 담고 있다.
조사 결과, 정년제를 운영 중인 사업체는 전체의 32.2%에 불과했으며, 특히 5~9인 소규모 사업체에서는 80.7%가 정년제를 도입하지 않고 있었다. 정년제를 운영 중인 기업의 60.5%는 정년 연장 계획이 없다고 밝혔는데, 그 이유로는 인건비 증가와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컸다.
반면, 퇴직자를 다시 고용하는 ‘재고용 제도’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체 조사대상 중 19.4%가 재고용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특히 제조업체는 30.1%에 달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퇴직자의 60% 이상을 다시 고용하고 있으며, 일부는 근로기간 제한 없이 계속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재고용의 가장 큰 이유는 ‘업무에 익숙하고 역량이 높아서’로 나타났으며, 이는 단순한 인력 보충이 아닌 생산성 유지 차원의 전략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체 신규 채용 인력의 86.3%가 40대라는 점 역시, 청년층 일자리 잠식 우려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다만, 재고용 제도를 공식화한 기업은 소수에 불과해,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윤중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은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을 위해서는 중고령 인력을 유연하게 활용하면서도 기업의 부담을 줄이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년제 논쟁보다는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재고용 모델이 당분간은 더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향후 경기도 중고령자 고용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되며, 후속 연구와 정책토론회 등을 통해 지속적인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보고서 전문은 경기도일자리재단 누리집(www.gjf.or.kr) ‘정책연구 > 연구보고서’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