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윤종영 경기도의원, 귀농귀촌 정책 간담회 개최…“실효성 있는 맞춤형 지원 시급” "중장년·은퇴 귀농인 현실 반영한 정책 필요” "북부지역 귀농 지원체계 재정비해야” 이윤기 기자 2025-05-29 10:00:54


‘귀농귀촌 정책 간담회’(사진=연천군)


[경기뉴스탑(연천)=이윤기 기자]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윤종영 부위원장(국민의힘, 연천)은 지난 27일 연천군 다목적복지센터에서 ‘귀농귀촌 정책 간담회’를 열고, 귀농귀촌인의 현장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며 정책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기도 농업정책과, 경기도농수산진흥원, 연천군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회, (사)농촌소멸지역희망네트워크 관계자 및 농업 현장 주민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윤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귀농귀촌은 농촌 정착을 넘어 지역소멸을 막는 가장 직접적인 전략”이라며 “특히 연천이나 가평처럼 인구감소와 접경지역 특성을 동시에 가진 곳은 보다 실질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귀농자금 대출의 까다로운 조건, 농지 확보의 어려움, 귀농 초기 주거 문제 등 현실적인 애로사항이 집중 제기됐다. 참석자들은 특히 담보 부족과 연소득 요건 등으로 정책자금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농지은행 임대가 청년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중장년층은 실질적 혜택을 받기 어렵고, 귀농 초기 주택 건축이나 임대 주거지 확보도 여전히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일부는 “설계비조차 마련하지 못해 집을 짓지 못하고 있다”는 사례를 공유하기도 했다.


유통과 판로 부족 문제도 주요 이슈로 다뤄졌다. 기존 농업인 대비 유통 인프라가 취약한 귀농인들에게 로컬푸드 직거래, 공공 온라인 마켓 활용 등 실무 중심의 마케팅 교육 확대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현행 귀농정책이 청년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실제 귀농을 시도하는 중장년층과 은퇴세대는 정책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더불어 귀농 정책이 ‘재배 농업’에 국한돼 있어 농산물 가공, 유통·판매 등 연관 산업 종사자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도 함께 언급됐다.


윤 의원은 “귀농귀촌 정책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라며 “경기도는 연천처럼 절박한 상황에 놓인 지역을 중심으로 보다 실효성 있는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귀농귀촌의 핵심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귀농귀촌지원센터가 경기 남부인 광주에만 있다는 점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라며 북부 분원 설치 또는 이전 검토를 공식 제안했다.


윤 의원은 향후 관련 사안을 도정질문 등을 통해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직접 요구하고, 상임위원회 차원의 조례 정비 및 제도개선 건의도 병행할 뜻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귀농귀촌 정책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만큼, 경기도의회와 집행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현 가능한 대안 마련이 기대된다.

관련기사

핫이슈

기획특집

취재현장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