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CI(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수원)=장동근 기자]경기도의회가 오랜 숙원 과제였던 3급 직제 신설을 통해 한층 더 효율적인 의회사무처 운영과 의정활동 지원 체계를 갖추게 됐다.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의회는 이를 “경기도의회 발전과 도약을 위한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평가하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정부는 20일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을 공포하고, 경기도의회를 포함한 인구 800만 명 이상 광역단체 지방의회에 3급 직제를 둘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동안 경기도의회는 전국 최대 규모인 156명의 의원정수와 377명의 사무처 정원을 갖췄음에도, 2급 사무처장과 4급 수석전문위원 사이의 중간 직제가 없어 효율적인 행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의회 관계자에 따르면, 총무·인사·입법정책 등 운영 전반의 업무가 사무처장 1인에게 집중되면서 업무 과중과 행정 비효율 문제가 지속 제기돼 왔다. 또한 집행기관의 실·국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직급의 의회사무처 간부들이 집행부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데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번 3급 직제 신설을 통해 이러한 구조적 문제들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무처장의 업무가 분산되면서 의회 행정의 전문성과 안정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의정활동 지원 역시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의회는 논평을 통해 “3급 직제 신설은 도민의 민의를 충실히 반영하고 의회의 본연 기능인 집행부 견제·감시를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방의회법 제정, 정책지원관 정수 확대, 의회의 자체 감사권 확보 등 지방의회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도의회 민주당은 “이번 제도 개선을 계기로 경기도의회가 도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더욱 도약할 수 있도록 앞장서 노력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지방의회 발전을 위한 전국 단위 연대와 협력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