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흥위·유연웅의 시론(時論)
-
세상을 바꾸는 힘, ‘사람다운 삶’에 있다.
세상을 바꾸는 힘, ‘사람다운 삶’에 있다. 유연웅/상임논설위원(극동대 교수)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의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의 수위를 넘어 인터넷 없이 업무를 보거나 일상을 보내는 것이 불가한 요즘이다. 일상의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는 인터넷은 일상을 스마트하게 도와주는 도구 그 이상의 의미가 되었다. 문제는 과...
-
세상을 바꾸는 힘, ‘사람을 만들어가는 세상’
세상을 바꾸는 힘, ‘사람을 만들어가는 세상’유연웅/상임논설위원(극동대 교수) 전통문화와 서구문화라는 이질적인 문화 사이에서 고민하며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주인공이 주변인으로 살다 비극을 맞게 되는 장편소설이 있다. 압둘 무이스(Abdul Muis)의 ‘잘못된 교육(Salah Asuhan)’의 내용이다. 결론적으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자 문...
-
본능(本能)과 이성(理性) 그리고 야성(野性)과 인성(人性)
본능(本能)과 이성(理性) 그리고 야성(野性)과 인성(人性)유흥위/논설주간(공주대 안보과학대학원 교수) 중국 송나라 유학자 상산은 “백성은 배고픔보다 불공정한 것에 분노한다(不患貧 患不均)”고 하였다. 문득 2019년 대한민국에 사는 우리들은 배부르고 공정한 사회에서 평안하고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어린아...
-
몸과 마음 그리고 환경의 조화
몸과 마음 그리고 환경의 조화유흥위/논설주간(공주대학교 안보과학대학원 교수)우리의 몸과 우리가 사는 집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우리의 몸은 몸집이고 사는 집은 집으로서 몸과 집 모두 무엇인가를 담는 집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좋은 몸과 마음을 가진 사람을 선하고 좋은 인성을 가진 사람이라 하고, 나쁜 마음과 행동을 하는 사람을 악...
-
4차 산업혁명과 인성
유흥위 논설 주간(공주대학교 안보과학대학원 교수) 우리는 인성이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대학입시나 기업채용에서 인성은 평가 요소에서 후 순위로 밀리고 학교, 직장, 지역사회에서 조차도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인 것처럼 치부되어왔다. 성적과 필기시험, 스펙 중심으로 서열화하고, 황금만능의 사회 구조 속에서 배려하고 존중...
-
‘미투 운동’과 성(性)
‘미투 운동’과 성(性)유흥위 논설주간(공주대학교 안보과학대학원 교수)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는 정신을 초자아, 자아, 이드의 구조적으로 나누었고 성(性)을 먹고, 자고, 싸는 것을 삶의 본능의 하나로 보았다. SNS에서는 자신이 겪은 성범죄를 고백하고 그 심각성을 알리는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이를 통하여 정치계, 문화계, 학계를 ...
-
피그말리온 사랑
플라톤은... 원래 한몸이었으나 두몸으로 갈라졌고 노력을 거쳐 자신의 잃어버린 반쪽을 찾아 새로운 합일을 이룸으로써 지속적이고 장기적이고 성숙한 사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렇게 사랑하는 두 사람이 '완벽하게 한 덩어리'를 이루기 위해서는 큐피드의 화살을 맞는 순간부터 모든 에너지를 이용, 상대방과 일치를 이루어나가...
-
인연에 대하여...
곧잘 인연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과연 얼마나 제대로 인연에 대해 알고 있을까... 아니...인연을 인연으로 받아들이고 인연에 당도하고 있을까... 인연을 말하면서도 장난처럼 대한다 인연이 운명과 혼재되어 좋아서 만날 때는 인연을 말하다가 수 틀리면 쉽게 서로를 팽개친다 인연에 대한 개념이 없는 거다 인연을 입에 담을 처지...
-
꿈과 희망이 고단한 현실에 주는 선물
''애벌레가 아름다운 건 나비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 때문일거야. 그리고 나비가 아름다운 건 그렇게 오랫동안 희망을 키웠기 때문이야." 꿈이...희망이 인간을 배부르게 하지는 못해도 우리에게 현실을 이겨낼 수 있는 넉넉한 힘을 선물한다 꿈과 희망은 자동차를 움직이고 기계를 돌리지는 못하지만 석유나 석탄보...
-
그해 여름
''내 인생이 힘들 때 언제나 당신과의 시간을 기억해요 고마워요 아름다운 추억을 선물해줘서 우리 울지 말아요 소중한 시간들 아름답게 기억해요'' 서울의 부잣집 아들인 대학생 청년과 부모가 월북했다는 손가락질을 받고 사는 외로운 시골 처녀가 나눈 짧은 여름 동안의 사랑 이야기 '그해 여름'을 본지 한 십여년쯤 됐는데...